플레이어 지원
LAB 메인으로 돌아가기
게임 서비스는 새로운 작업 현실에 부응하기 위해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최근 세계에서 벌어진 사건들은 그간 비디오 게임 업계의 관행과 같은 업무 방식에 대해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서비스 회사들은 성공을 거두기 위해 업무를 진행,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더욱 민첩하도록 변화해야 했지만, 그건 쉽지 않은 과정이었습니다.
PTW 플레이어 지원 부문 글로벌 시니어 디렉터 네일 롱(Neil Long), 플레이어 커뮤니티 부문 글로벌 총괄 응우엔 니(Nguyen Nee), 그리고 현지화 부문 디렉터를 역임 중인 빅터 알론조 리온(Victor Alonzo Lion)이 가장 최근에 열린 게임 퀄리티 포럼(Game Quality Forum)에서 이번 주제를 다루면서, 어떻게 PTW가 다수의 지역과 언어에 대해 효율적으로 퀄리티 높은 서비스를 제공했는지, 사람과 기술의 접목을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적응력이야 말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산업에서 생존하기 위한 열쇠라는 것입니다. 조직은 승리하고자 하는 전략을 결정할 때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죠. 어떤 것이 우수성을 끊임없이 이어가는 원동력이 되는가? 어떤 작업 방식을 폐기해야 하며, 어떤 방법을 채택하거나 적응해야 하는가? 무엇이 최근 기술적 트렌드인지,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그 트렌드가 가진 강점과 단점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래에 대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시인이자 극작가인 제시카 하게돈(Jessica Hagedorn)은 이렇게 말합니다. "적응력은 생존에 관한 단순한 비밀이다." 하지만 거대한, 글로벌 사업을 운영하는 PTW가 어떻게 이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요?
중요한 원동력은 언제나 비용입니다. 많은 회사들은 출시 관련 타임라인을 계획할 때, 이것이 납품 일정과 출시 후 지원에 대한 옵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걸 핵심으로 봅니다. 또한 비용은 또 다른 원동력인 탄력성으로 바로 이어집니다. 재정이 문제가 되는 경우, 대형 스튜디오나 소형 스튜디오, 그리고 퍼블리셔 모두 변화하는 시장의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준비된 계획에 대해서도 변화를 허락해야만 합니다.
인재, 그리고 인재의 가용성은 확보하는 것은 공존할 수 있는 두 개의 원동력이면서, 제안했던 타임라인에 대한 급격한 변화를 가능케 해 줍니다. 때로 스튜디오들은 단축된 개발 일정에 맞추기 위해 팀을 키워야 하며, 이는 외부의 도움을 구하는 걸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이때 필요로 하는 인재를 구할 수 없다면 이러한 계획을 망칠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들의 기대치가 갖고 있는 원동력과 시장의 불확실성 간의 연결고리도 있습니다. 가장 최고의 시장 조사를 수행했다고 해도, 게임을 플레이하는 고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100% 확신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타이틀에 대해 자신들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이며, 싫어하는 것은 무엇인지 의견을 개진하는 게이머들로 가득하지만, 그러한 의견 속에서 게임 개발 스튜디오에게 확실한 방향성을 알려주는 것과 같은 의미있는 내용을 뽑아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술 및 제도적 지식과 연관된 원동력에 대해서도 고려해야만 합니다. 이들 원동력은 계속해서 상호 운용되면서 정보를 공유하고, 개발 스튜디오로 하여금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는 능력을 계속 유지하면서, 소속된 팀이 기술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